- 글번호
- 940473
[RISE사업] 데이터 주권 기반의 광주 데이터스페이스 플랫폼 구축 기반 연구 참여 안내
- 작성일
- 2025.11.19
- 수정일
- 2025.11.19
- 작성자
- 관리자
- 조회수
- 283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재학생분 여러분께,
RISE 사업의 일환으로 추진되는 “데이터 주권 기반의 광주 데이터스페이스 플랫폼 구축 기반 연구”에 참여할 대학원생을 아래와 같이 모집하오니,
관심 있는 재학생 여러분의 많은 참여를 바랍니다.
1. 모집대상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석·박사 과정 재학생 25명
※ 단, RISE 산학협력 프로젝트 참여자는 제외
※ 전일제/비전일제/GKS 및 소속 제한 없음 (공공기관, 교직, 자영업, 무소속 등 모두 지원 가능)
2. 연구 참여 기간
2025년 12월 ~ 2026년 1월 (총 2개월)
3. 신청 방법 및 선정 기준
- 신청 기한: 2025. 11. 24.(월) 18:00까지
- 신청 방법: DS행정실 윤정인선생님께 신청 (카카오톡, Tel: 062-530-5776)
- 선정 기준: 신청 인원이 25명을 초과할 경우 "선착순" 선정
4. 연구 주제
[RISE3-3(2) 광주문화예술·관광 도시 활성화를 위한 데이터사이언스 융합 인재양성]
“데이터 주권 기반 광주 데이터스페이스 플랫폼 구축 기반 연구”
(하단의 ‘주요 연구내용’ 참고)
5. 연구 지원
(RISE 산학협력 프로젝트 참여자와 유사한 수준으로) 60만원 ~ 100만원 차등 지원 예정
6. 연구 수행 방식
- 중간발표: 10분
- 최종발표: 15분
- 연구보고서: A4 기준 약 15페이지
※ 참여자 오리엔테이션을 통해 팀 구성 및 세부 운영 방식 별도 안내 예정
7. 주요 연구 내용
① 광주 지역 문화·예술·관광 데이터 자산 분석 및 거버넌스 체계 정밀 진단
• ACC 등 지역 공공·민간 기관이 보유한 데이터의 유형, 품질, 활용 현황 조사
• 기관 간 데이터 연계 및 공유 방식, 데이터 관리 및 유통 프로세스, 상호운용성 수준을 분석하여
광주 지역 데이터 생태계의 현황과 문제점 진단 및 개선 필요사항 도출
② 유럽의 데이터스페이스 및 GAIA-X의 국내 적용 가능성 비교·분석
• 데이터스페이스, GAIA-X의 기술 구조, 거버넌스 모델, 데이터 주권 보장 메커니즘 분석
• 데이터스페이스 적용 사례를 중심으로 광주 지역 산업·문화 환경과의 적합성 평가 및 적용 가능성 검토
• 한국 지역사회에 적합한 한국형 지역 데이터스페이스 모델 설계 원칙을 정립하고 정책적·기술적 시사점 제시
③ 데이터스페이스 기반의 광주 문화·예술·관광 데이터 통제 및 접근 관리 모델 설계
• 데이터 생성자(개인·기관·기업)가 자신의 데이터를 직접 통제할 수 있는 데이터 주권 모델 설계
• 전남대·지역기관·기업 간 데이터 연계·확장을 지원하는 기술 아키텍처 구체화
• 장기적으로 도시·문화·산업 분야 전반에서 활용 가능한 광주형 데이터스페이스 플랫폼 운영 전략 및 확산 방안 제시
8. 관련 전문가 초빙 세미나 안내
- 세미나 1 (온라인)
• 주제: 유럽의 데이터스페이스 및 GAIA-X 기술 소개
• 일시: 2025. 11. 25.(화) 20:00 ~ 21:00
• 연사: 이규명 교수 (영국 Liverpool John Moores University)
• Zoom 링크: https://jnu-ac-kr.zoom.us/j/86355675137
• 회의 ID: 863 5567 5137
- 세미나 2
• 주제: 데이터주권 기술 개요 및 리빙랩 적용 사례 소개
• 일시: 2025. 11. 25.(화) 21:00 ~ 21:30
• 장소: 도서관별관(백도) 316호 강의실
• 연사: 박성범 팀장 (광주테크노파크)
- 세미나 3
• 주제: 국립아시아문화전당(ACC)의 문화·예술·전시·공연 데이터 수집·축적·분석 사례 소개
• 일시: 2025. 12. 1.(월) 19:00 ~ 21:00
• 장소: 도서관별관(백도) 203호 강의실
• 연사: 기영준 연구관 외 2인 (ACC)
9. 관련 문의: 데이터사이언스대학원 엄태원 교수 (Tel: 062-530-5794, stwum@jnu.ac.kr) -끝-
- 첨부파일
- 첨부파일이(가) 없습니다.